2023. 8. 8. 17:18ㆍ꿀팁
안녕하세요, 페리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원하는 타겟을 찾아내는 데 유용한 INDEX와 MATCH 함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1. INDEX 함수
INDEX 함수는 엑셀에서 특정 범위에서 행과 열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하는 셀의 값을 찾아내는 함수입니다. 즉, 주어진 행과 열의 번호로부터 해당 위치의 값을 반환합니다.
사용법:
=INDEX(array, row_num, [column_num])
array: 검색할 데이터가 있는 범위 (배열 또는 표)
row_num: 찾고자 하는 값이 위치한 행 번호
[column_num]: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찾고자 하는 값이 위치한 열 번호. 생략하면 row_num과 동일한 행 내에서 값을 찾습니다.
예시:
A | B | C | |
1 | 100 | 10 | Apple |
2 | 200 | 20 | Banana |
3 | 300 | 30 | Orange |
=INDEX(A1:C3, 2, 3) -> "Banana"
=INDEX(A1:C3, 3) -> 300
2. MATCH 함수
MATCH 함수는 주어진 값과 일치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색하는 함수입니다. 즉, 데이터가 위치한 행 또는 열 번호를 반환합니다.
사용법:
=MATCH(lookup_value, lookup_array, [match_type])
lookup_value: 검색하고자 하는 값
lookup_array: 검색 대상 데이터가 있는 범위 (배열 또는 표)
[match_type]: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검색 방법을 지정합니다.
0 또는 생략: 완전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1: lookup_value보다 큰 값을 찾습니다.
-1: lookup_value보다 작은 값을 찾습니다.
예시:
A | B | C | |
1 | 100 | 10 | Apple |
2 | 200 | 20 | Banana |
3 | 300 | 30 | Orange |
=MATCH("Banana", C1:C3, 0) -> 2
=MATCH(300, A1:A3, 0) -> 3
3. INDEX와 MATCH 함수의 차이점
INDEX 함수는 주어진 행과 열 번호로부터 해당 위치의 값을 반환합니다.
MATCH 함수는 주어진 값과 일치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검색하여 행 또는 열 번호를 반환합니ek.
4. INDEX와 MATCH 함수를 조합하여 사용하기
INDEX와 MATCH 함수를 조합하면 특정 조건에 맞는 값을 더욱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예시:
A | B | C | |
1 | 100 | 10 | Apple |
2 | 200 | 20 | Banana |
3 | 300 | 30 | Orange |
=INDEX(A1:C3, MATCH("Banana", C1:C3, 0), 1) -> 200
=INDEX(A1:C3, MATCH(300, A1:A3, 0), MATCH("Apple", A1:C1, 0)) -> 100
엑셀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원하는 정보를 찾아내는 데에 유용한 INDEX와 MATCH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INDEX 함수는 행과 열 번호를 기준으로 값을 찾고, MATCH 함수는 주어진 값을 검색하여 위치를 반환합니다. 이 두 함수를 적절히 조합하여 데이터 분석과 검색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랄게요🚀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사용자서식 설정의 핵심, 서식 코드 활용 꿀팁! (23) | 2023.08.23 |
---|---|
엑셀 숫자 서식 설정으로 숫자 앞에 특정 자리수만큼 0 추가하기 (0) | 2023.08.17 |
엑셀에서 순서 정렬하는 꿀팁! Rank 함수 활용법 (0) | 2023.08.04 |
개인용 스토리지 NAS vs 클라우드 뭐가 더 좋을까? (0) | 2023.08.02 |
노트북 살 때 윈도우 vs 맥북 고민된다면 (0) | 2023.08.01 |